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docker
- 도커
- 스노트
- 스노트 룰
- MySQL
- 코딩테스트
- 라우팅프로토콜
- Linux
- Container
- OSI7계층
- snort
- Python
- Cosmos
- 코딩 테스트
- 리눅스
- coding test
- database
- osi7layer
- 프로그래머스
- 컨테이너
- 라우팅
- Routing
- Snort Rule
- 데이터베이스
- db
- 라우터
- Router
- TDD
- 트레바리
- programmers
Archives
- Today
- Total
Simple is IT, 누구나 보고 누구나 깨닫는 IT
AWS Database Migration Service_보류 본문
AWS DMS(Data Migration Service) 무엇일까요?
관계형 DB, 데이터 웨어하우스, NoSQL DB 및 그 밖의 데이터 스토어 유형을 쉽게 마이그레이션 하도록 도와주는 AWS의서비스에요!
DB 마이그레이션을 생각하면 아주 골치아픈 기억들이 많을거에요...
DMS를 잘 사용한다면 AWS 클라우드와 온프레미스(또는 프라이빗 클라우드) 간 데이터 마이그레이션이 아주 쉬워지죠.
또, 한 번 수행한 마이그레이션에서 지속적인 변경 사항을 복제해 동기화 상태로 유지할 수도 있답니다!
DMS는 소스 데이터 스토어에서 대상 데이터 스토어 마이그레이션하는데 사용하는 웹 서비스에요.
(이 두 데이터 스토어는 엔드포인트라고 불리죠!)
Example Endpoint:
Source - Oracle DB, Destination - Oracle DB = Migration 가능
Source - Oracle DB, Destination - PostgreSQL DB = Migration 가능
'Simple is IT >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ERROR] PostgreSQL, connections on Unix domain socket "/tmp/.s.PGSQL.5432"? (0) | 2020.09.29 |
---|---|
DB 이중화(DB Master, Slave) (0) | 2020.05.05 |
DataBase_HBase (0) | 2020.05.05 |
Apache Hive의 간단한 설정 (0) | 2020.05.05 |
빅데이터(Big Data)와 하둡(Hadoop) (0) | 2020.05.05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