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Linux
- coding test
- TDD
- 라우팅
- 도커
- 스노트
- 컨테이너
- 라우터
- database
- 트레바리
- Router
- 프로그래머스
- db
- 코딩테스트
- 라우팅프로토콜
- docker
- Container
- Snort Rule
- 코딩 테스트
- programmers
- 리눅스
- OSI7계층
- 스노트 룰
- Routing
- Python
- snort
- osi7layer
- MySQL
- Cosmos
- 데이터베이스
- Today
- Total
목록패킷 (2)
Simple is IT, 누구나 보고 누구나 깨닫는 IT
우선 IPv4 패킷의 헤더를 알아보기 전에 프로토콜의 특징에 대해서 짚고 넘어가자.1. 비신뢰성 : 오류제어, 흐름제어 등을 하지 않음2. 비연결형 : 연결설정을 하지 않음, 브로드캐스팅 방식3. 주소지정 : 송/수신 IP주소를 32비트로 지정4. 경로설정 : 목적지 IP주소를 기반으로 경로를 설정5. 최선형 서비스 : 호 설정 없이 빠르게 호에 접속 IPv4 Packet header IP 패킷의 기본 헤더는(옵션 필드 미포함) 총 20바이트이다.각 필드 별 설명 Version( 버전 ): IP의 버전을 나타낸다. ( IPv4 ) IHL( 헤더길이, Header Length ): 옵션 필드를 포함한 총 길이 헤더를 표시한다. DSCP, ECN( 서비스 타입과 예약 ): 우선권( 3..
OSI 7 Layer - 개방형 시스템 모든 종류의 컴퓨터 시스템 간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설계를 위한 계층구조이다.통신을 7단계로 표준화하여 효율성을 높이기 위함.* 개방형 시스템이란?: 기반 구조에 관계없이 서로 다른 시스템 간의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OSI 7계층이 생겨나게 된 이유1. 데이터의 흐름이 한 눈에 보임 -> 계층별 캡슐화, 디캡슐화2. 문제해결에 용이 -> 네트워크 문제를 7단계로 나누어 접근3. 여러 장비의 호환성이 증대 ex) 국산 케이블, 인텔 랜카드 = 이상 X아래 사진을 보자. OSI 7 계층 구조 Layer 1 ( 물리계층, Physical - 데이터 단위 : Bit ): 전기적 신호를 이용해서 통신 케이블로 데이터를 전송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