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Cosmos
- docker
- 리눅스
- 코딩 테스트
- 스노트
- 라우터
- TDD
- Container
- OSI7계층
- 프로그래머스
- 스노트 룰
- 도커
- coding test
- 데이터베이스
- 코딩테스트
- 컨테이너
- osi7layer
- Python
- 트레바리
- Linux
- database
- MySQL
- 라우팅프로토콜
- programmers
- Snort Rule
- Routing
- snort
- Router
- db
- 라우팅
- Today
- Total
목록전체 (202)
Simple is IT, 누구나 보고 누구나 깨닫는 IT

Typescript Compile 타입스크립트는 자바스크립트의 슈퍼셋, 자바스크립트에서 정의할 수 없었던 타입을 정의해 소프트웨어 안정성을 높이는 데에 큰 비중을 차지한다. 동작과정 아래 그림은 Typescript Compile 과정의 모식도다. 이런 모식도만 본다고 우리가 코드 동작 과정을 이해하고자 하는 욕구는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나는 tsc 명령어를 입력하는 순간 typescript 코드 속으로 빨려 들어가 볼 것이다. javascript 코드로 컴파일하기 위해 tsc 명령어를 입력했다. 그 순간, 나는 node_modules/typescript 디렉토리로 빨려들어간다. 슝….🚀 tsc tsc 명령어를 입력했을 때, 가장 처음 마주하는 파일은 src/tsc/tsc.ts이다. ts.executeC..
N+1 Settings TypeDefs const typeDefs = `#graphql type User { id: Int!, name: String!, } type Post { id: Int!, boardId: Int!, user: User!, } type Board { id: Int!, posts: [Post], } type Query { board(id: Int!): Board } `; Resolvers const resolvers = { Query: { board: (_, { id }) => Board.findOne({ where: id }), }, Board: { posts: board => Post.findAll({ where: { boardId: board.id }}), }, Post: { ..
다양한 감각으로 고통스러웠고, 다양한 감각으로 즐거웠고, 다양한 감각으로 두려웠으며, 다양한 감각으로 행복했다. 그 결과 다양한 면에서 성장했다고 생각한다. 의문 반, 확신 반으로 시작했던 멋쟁이 사자처럼 스타트업 스쿨. 생각보다 다양하고 값진 것들을 배우고, 얻었으며, 누가 되었든 이곳에서의 경험이 어디선가 결실로 맺어질 거라는 데에는 확신이 생겼다. 공개하지 못하는 정보를 일부(사실 대부분) 제거하고, 자문자답 형식으로 작성해 본다. 질문은 아래와 같다. 세 달 전 목표로 했던 것, 그리고 달성 여부는 무엇인가? 진행하면서 어려웠던 점은 무엇인가? 세 달 전과 비교했을 때 달라진 점, 또는 생각의 변화가 있다면 무엇인가? 세 달 동안 성장하기 위해 무엇을 노력했고, 성과는 무엇인가? -> 이건 아직 ..
분명히 밝히지만, 나는 종교인이 아니다. 종교에 대한 관심은 많지만 굳이 따지자면 현재는 불가지론에 가깝다. 이번 책도 관심과 호기심으로 읽은 것이다. 그리고 내가 찾고자 하는 것을 담고있는 것 같아서. 나중에 종교인이 되어있을 지 안 되어 있을 지는 모르겠다. 도대체 무엇이 진리일까 나를 사랑해 줄 사람이 있는가? 나를 진정으로 생각해 줄 사람이 있는가? 내가 어찌할 바를 모르고 울고 싶을 때 나와 함께 있어 줄 사람이 있는가? 나를 붙들어 주고 내가 혼자가 아니라는 사실을 확인시켜 줄 사람이 있는가? 우리가 살아가면서 알아가는 대부분의 것들이 통하지 않는 곳이 있다. 라르쉬라는 곳은 몸과 마음이 상한 이들이, 이곳 저곳 상처가 가득한 이들이, 매일매일 새로운 자아로 탄생하는 이들이 공동체를 이루고 있..
고래들에게 가장 위협적인 존재는, 아주 최근에 기계 기술 문명의 발달로 고래와 바다에서 경쟁하게 된, 스스로를 인간이라 부르는 동물이다. 고래의 전 역사에서 99.99 퍼센트에 해당되는 기간 동안 고래들은 심해나 대양에서 인간이라는 존재를 만날 수 없었다. 이 긴 시간에 걸쳐서 고래는 소리를 이용한 아주 특별한 의사소통 방법을 개발해왔다. . 긴수염고래는 20 헤르츠의 소리를 아주 크게 낸다. 바다에서 이렇게 낮은 주파수의 소리는 거의 흡수되지 않는다. 생물학자 로저 페인의 계산에 따르면 20 헤르츠의 소리를 이용한다면 지구상에서 가장 먼 두 지점에 떨어져 있더라도 두 마리의 고래가 상대방의 소리를 알아듣는 데 어려움이 없다고 한다. . 육중한 체구에 영리한 머리를 갖고 의사소통이 가능한 이 특별한 생물..
Planetary orbital calculator 태양계의 모든 행성들의 궤도 데이터를 담는 객체가 필요했습니다. @Test void 궤도를_생성합니다() { Orbit actual = Orbit.of(LONG_RADIUS, ECCENTRICITY, INCLINATION, LONGITUDE_OF_ASCENDING_NODE, AVERAGE_LONGITUDE, PERIHELION_LONGITUDE); assertThat(actual).isInstanceOf(Orbit.class); } 날짜별 행성의 위치 계산에 필요한 궤도 데이터가 정의되어야 했기에, 제가 필요한 데이터들을 생성자로 넣어줬습니다. 그리고, 그 객체가 Orbit 인지 확인했죠. 처음엔 빠르게 통과시키기 위해, 빈 객체를 반환했습니다. 통과하..
# 상처 다사다난한 어린시절을 보냈다. 나를 세상에 존재하게 만들어 준 사람은 자신의 세상에서 나를 지웠고, 달콤한 말로 나에게 희망을 전달해 준 사람은 행동으로 나의 희망을 갉아먹었다. 누구나 어린시절 남들에게 말 못할 일들을 겪었을 것이다. 참으로 어리석을 짓을 했을 수도 있고, 지금 생각해 보면 별 것 아닌 것으로 시름시름 앓았을 수도 있다. 나의 어린시절은 다른 사람들, 심지어 가족과 친구들에게도 차마 말하지 못하는 일들로 가득하다. 그 일이 그들의 귀에 들어갔을 때 나를 바라보는 표정을 상상하면 끔찍하다는 표현으로도 부족하다. 누군가는 나를 동경하고, 누군가는 나를 경멸한다. 누군가는 나를 좋아하고, 누군가는 나를 혐오한다. 누군가는 나를 있는 그대로 바라보고, 누군가는 과거로 나를 판단한다. ..
“You go talk to kindergartners or first-grade kids, you find a class full of science enthusiasts. They ask deep questions. They ask, "What is a dream, why do we have toes, why is the moon round, what is the birthday of the world, why is grass green?" These are profound, important questions. They just bubble right out of them. You go talk to 12th graders and there's none of that. They've become i..